반응형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 기준과 장단점(바닥형 보행신호등 표준지침 2019) 바닥형 보행신호등이란? -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보행신호등이 설치된 횡단보도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보행 보조장치이다.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 기준 바닥형 보행신호등 보조장치는 왕복4차로 이상인 도로 중에서 보행자 통행이 빈번하고 보행자 횡단사고가 잦은 보호구역(어린이, 노인, 장애인)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외 지역 중 교통안전상 부득이하게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위 기준을 고려하여 관할 지방경찰청(또는 경찰서) 교통안전시설심의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설치할 수 있다.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 위치 바닥형 보행신호등의 장단점 ○ 장점 - 스몸비(스마트폰 + 좀비,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는 사람들을 지칭함)를 예방할 수 있다. 바닥 보행신호등은 바닥에서 신호를 표출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는 사람들에게 신.. Study Note/도로교통 2021. 6. 8. 횡단보도 보행자 보행속도 개정(교통신호기 설치관리 매뉴얼) 보행자신호 시간 계획 ○ 전체녹색시간 (녹색 + 녹색점멸) 산출 방법 ○ 녹색고정시간 및 녹색점멸시간 산출 방법 [ 초기 진입시간(t)은 보통 7초를 할당하며 인지반응시간을 고려하여 최소 4초 이상을 할당한다. ] [ 보행속도는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1.0m/s를 적용하되, 어린이 보호구역, 노인보호구역 등 교통약자를 위한 보행신호 운영시 0.7m/s의 보행속도를 적용한다. ] [ 녹색점멸신호 시간은 보행속도 1.3m/s를 적용하여 산출한다. ] 최근 어린이 보호구역 등 교통약자에 대한 보호의 의견이 높아지면서 기존의 0.8m/s에서 0.7m/s로 보행속도를 더 낮춰서 교통약자가 더 안전하게 횡단을 할 수 있도록 개정이 되었다. Study Note/도로교통 2021. 6. 7. [도로교통법] 개인형 이동장치(PM) 전동킥보드 관련 법규 개정 최근 개인형 이동수단(PM) 중에 하나인 전동킥보드 대여 업체가 증가하면서 길거리에서 너무나도 쉽게 전동킥보드를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전동킥보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전동킥보드와 관련된 사고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7년 117건에서 2019년 447건으로 급증하였습니다. 이러한 개인형 이동수단에 이용 증가에 따라서 관련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고, 이에 따라 도로교통법이 개정되었습니다.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개정법은 21년 5월 13일부터 시행되었으며, 관련된 규정은 다음과 같다. 법규 개정 중에서 가장 눈여겨볼 내용은 바로 운전면허가 원동기 면허 이상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요즘 학생들이 많이 전동킥보드를 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법이 개정되면서 만 16.. Study Note/도로교통 2021. 6. 4. [밥버거] 봉구스 밥버거 메뉴판 Menu Note/Food 2021. 6. 4. 도로공사구간 도로 설계 기준 및 지침(2018 도로공사장 교통관리지침) 설계요소 ○ 설계기준자동차 설계기준자동차는 횡단구성, 도로의 선형 등 설계기준 적용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 지역특성 지방지역과 도시지역, 지형, 도로 주변 토지 이용 현황, 지역 사회 특성을 설계기준 적용 시 반영해야 한다. ○ 교통량 연평균 일교통량(AADT) 또는 일평균 교통량(ADT), 설계 시간교통량(DHV), 중차량 비율 등을 설계기준 적용 시 고려해야 한다. ○ 공사규모 도로 공사구간의 점용 시간과 공간을 고려해햐 한다. ○ 인적요소 개별 운전자는 같은 도로,교통 조건에 다르게 반응하기 때문에 설계기준은 다양한 운전자의 운전행태를 고려하여야 한다. 기본 원리 ○ 설계 일관성 원리 공사 시행 전 도로시설을 이용했던 운전자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도로 공사구간 도로는 본선과 일관성 있게 설계하.. Study Note/도로교통 2021. 6. 2. [치킨] BBQ 치킨 메뉴판 Menu Note/Food 2021. 6. 1. 이전 1 ···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반응형